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중일3국

 

최근 3국은 영상회의로 열린 제22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향후 5년간의 환경 분야 우선협력 이행계획을 담은 '제3차 공동행동계획(2021-2025)'을 채택했다. 한정애(韓正愛) 한국 환경부장관과 황윤추(黃潤秋) 중국 생태환경부장관, 야마구치 쓰요시(山口剛) 일본 환경장관이 참석해 3국의 환경협력 전망과 공동으로 관심 있는 지역·글로벌 환경 의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현재 지구는 온난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극지대의 빙하는 서서히 녹고 식물 재배 하한선도 점차 북쪽으로 올라오고 있다. 세계는 그래서 탄소 중립에 사활을 걸고 있다.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를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2도 이내로 막아 해수면 상승과 동식물의 멸종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2021년 중국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이 정점을 찍고 1960년 이전에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대규모 숲 조성과 온실가스 저감기술 구현 등을 통해 늦어도 2060년부터는 온실가스를 더 늘리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보다 10년 앞선 2050년을 탄소 중립 목표시점으로 잡았다.

중국은 최근 종료된 정례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도 탄소 중립 의지를 재천명했다. 2030년 탄소배출 피크 1960년 탄소중립이라는 장기과제를 지키기 위해 녹색기술을 활용해 에너지를 절약하고 화석에너지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를 크게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3국은 본격적인 탄소 감축 경쟁에 돌입한 것이다.

기자는 10여 년 전 일본의 온실가스 저감 노력을 보기 위해 도쿄 정부합동청사를 찾았다. 환경부 직원들의 명함은 100% 재생용지로 만들어졌으며 전원이 매일 1kg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자 에어컨 온도를 높이고 히터 온도를 낮추자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 방법이 적혀 있었다. 1, 2층을 이동할 때는 누구도 예외 없이 계단을 이용했고 직원들은 사무실에서 데스크톱 대신 노트북으로 작업을 했다. 이 모든 것이 온실가스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작지만 위대한 시도였다. 한국과 중국이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면 탄소 중립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세 나라는 사람의 생김새와 사고방식, 가치관이 비슷하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키고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쉽게 말해 장단점을 모두 공유하는 이웃이다.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도 세계 경제를 이끌어갈 3국의 환경협력은 필수적이다. 한·중·일의 도전이 인류 최대의 도전과제인 기후변화 위기 극복에 모범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 | 류지영 서울신문 베이징특파원

한국어 월간지 <중국> 2022년 1호